울진 봉평리 신라비  
기본정보
이름울진 봉평리 신라비
인기점수13점
주소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문의 및 안내054-789-5460
쉬는날 월요일 / 공휴일
체험 안내 [신라비 전시관] 건탁 체험 / 기둥머리 장식 쌓기 체험 / 집 모양 쌓기 체험 / 퍼즐 맞추기 체험
수용인원 300명
이용시간 10:00~18:00 (입장마감 17:00)
주차시설 있음
주차요금 - 무료
유모차 대여 없음
애완동물 동반 불가
기타정보
이용가능시설전시실 / 도서관
화장실있음(남녀 구분)
입 장 료무료
Overview
울진 봉평 신라비는 1988년 마을 주민이 밭갈이를 하다가 발견된 비석이다. 크기는 높이 204㎝, 글자가 새겨진 부분 위쪽 너비는 32㎝, 가운데 너비 36㎝, 아래쪽 너비 54.5㎝로 전체 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까운 부정형으로 414년에 세운 광개토대왕비와 유사하며, 자연석을 거의 그대로 이용한 것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비의 일반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으로 비문의 일부가 마멸되어 정확한 판독이 어려우나, 신라 524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본 줄거리는 울진 지역에서 신라에 대한 모종의 반란 사태가 발생하여 경주와 삼척의 대군으로 반란을 진압하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책임자에게 장 60대와 100대를 치고 얼룩소를 잡아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이러한 일이 다시 발생하면 천벌을 받을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신라시대 사회의 전반적인 모습을 새롭게 검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며, 또한 법흥왕 때의 율령반포와 육부제의 실시, 왕권의 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국보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현재 봉평 신라비는 출토지 옆 [신라비 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전시관에는 울진지역을 둘러싼 고구려와 신라의 석비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발견과 석비의 역사, 역사 속의 울진, 시대별 비의 특징 등을 전시하고 있다. 더불어 전시관에서 기둥머리 장식 쌓기, 건탁(동화나 은화 위에 종이를 대고 연필심으로 문질러 뜨는 것), 집 모양 쌓기 등의 체험도 즐길 수 있다.
네티즌 리뷰
2025년 02월 15일
무료 입장이라 한번 들러보면 좋아요
2024년 09월 06일
주변 맛집  
르카페말리
0.81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중앙로
진해식당
2.01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중앙로
유일대게회센터
2.09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예원
2.11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중앙로
사동횟집
5.82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돌고래횟집
5.94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송학면옥
5.95km
경상북도 울진군 읍내2길
나곡식당
8.57km
경상북도 울진군 곡리1길
왕비천이게대게왕비천점
8.64km
경상북도 울진군 불영계곡로
주변 여행  
봉평해수욕장
0.35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항
1.99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해안스카이레일
2.13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 등대
2.36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폭풍속으로 촬영지
2.40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해수욕장
2.98km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울진과학체험관
5.28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울진향교
5.59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울진 왕피천 공원
5.70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울진은어다리
7.40km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주변 숙박  
덕구온천리조트 콘도
11.77km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덕구온천리조트 호텔
11.77km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주변 캠핑  
페리아오토캠핑장
2.42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염전해변캠핑장
7.85km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불영계곡캠핑장
11.71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왕피천관광농원
13.98km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병풍바위야영장
14.91km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왕피천하늘담야영장
14.98km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왕피천숲속캠핑장
15.78km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큰빛내야영장
17.47km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금강송 체험 야영장
17.87km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주변 쇼핑  
울진바지게시장
5.81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울진장
5.85km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