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재  
기본정보
이름낙선재
인기점수1,211점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문의 및 안내02-2148-1822
유모차 대여 없음
애완동물 동반 없음
지하철
안국역 3번 출구 (도보 14분)
Overview
정면 6칸, 측면 2칸, 단층 팔작기와지붕의 익공(翼工)집이다. 낙선재는 본래 창경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었으나 근래에 창덕궁에 속한 것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이 건물은 헌종 12년(1846)에 건립한 것으로 본 건물에 접속된 석복헌(錫福軒)과 수강재(壽康齋) 등 3개의 건물을 총칭하여 낙선재(樂善齋)라 부르고 있다. 정문은 장락당(長樂堂)으로 낙선재 남행각(南行閣) 12칸에 설치되었다. 이 문을 들어서면 넓은 마당 뒤로 낙선재가 있다. 정면 6칸 중 우측 한 칸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누마루가 되었고 몸채는 장대석 기단 위에 방형(方形) 초석과 기둥을 한 일반적인 주택풍으로 세워졌다. 즉 기둥 위 주두(柱頭) 위에 대량(大樑)을 걸고 그 틈에 도리를 얹었으며 창방(昌枋)과 도리받침장혀 사이에 소로를 끼웠고 창방머리는 초각(草刻)하였다. 누마루는 사다리꼴 높은 석주형(石柱形) 초석 위에 방주(方柱)를 세우고 머름창방 위에 사분합을 달았다. 누마루의 아래 분구(焚口) 있는 주변은 불규칙한 선의 모자이크 장식이 독특하며 주간의 문짝의 무늬가 다양하다. 집 뒤로는 큰 석재로 쌓아 만든 화계(花階)가 있고 굴뚝과 각 단의 꽃나무, 괴석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조원(造園)이 뛰어나다. 낙선재에 연접한 석복헌은 역시 정면 6칸, 측면 2칸으로 안사랑에 해당하는 건물이다. 3급 장대석 기단에 계단이 둘 설치되어 있다. 사다리꼴 초석 위에 방주가 섰다. 전면의 주간에는 세장(細長)한 장지문이 달렸는데 그 중 중앙 1칸은 머름을 하여 낮고 문살 모양도 다른 문과 다르다. 건물 주위로 행각이 둘렸으며 밖으로 외행각(外行閣)이 나 있고 이것이 수강재에 이어진다. 수강재는 15칸 규모이며 5량 가구(架構)의 홑처마 단층기와지붕을 한 건물이다.
네티즌 리뷰
궁궐의 또다른형태
2025년 03월 13일
창덕궁 안에 있는 기왓집 형태의 건물입니다.
2025년 01월 19일
멋지네요.
2024년 06월 03일
소박하고 단아한 멋이 있는 전각. 창덕궁 낙선재. 너무나 멋진 곳
2025년 03월 03일
한옥건물 건축미를 그대로 보여주는 낙선재, 좋아요.
2025년 01월 30일
겨울 창덕궁 낙선재, 감빛 풍경 속으로

창덕궁 낙선재는 겨울의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간직한
공간입니다.

입구 마당에 매달린 주홍빛 감들은
까치밥이라기엔 너무 풍성해 새들의
천국이 되고, 동시에 관광객들에게는
인생 사진을 남길 수 있는
포토존을 제공합니다.

특히 낙선재의 고풍스러운 건축물과
어우러진 감나무는 한국적인
겨울 풍경을 만끽하기에 제격입니다.

낙선재 내부는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과거 왕실의 일상을
상상하게 하며, 겨울 햇살이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은
한 폭의 동양화 같습니다.👍

사진을 찍기에도 좋지만, 조용히 산책하며 시간을 보내기에도 훌륭한 곳입니다. 겨울 여행으로 창덕궁 낙선재를 선택한다면, 전통과 자연이 어우러진 계절의 정취를 깊이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2025년 01월 04일
낙선재 심화설명 신청했는데
처음 시작할때 50명이 넘는 인원이 함께해서 어렵게 예약한 것이 무색했는데..
끝날때는 30명정도 되더군요..
워낙 설명 프로그램이 많다보니 다른 설명해주시는분 따라다녀도 표도 안나겠어요
2024년 11월 11일
늦가을의 낙선재는 단풍이 물들어
더욱 운치가 깊어집니다.

입구에 자리한 감나무에는
주황빛 감이 가득 매달려,
고즈넉한 가을 풍경을 연출합니다.

이곳은 19세기 중반 사대부 주택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로, 1847년에
세워져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창덕궁 인정전 동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인의와 충성을 즐기라는
(맹자)의 구절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낙선재는 조선 왕가의 여인들이
기거했던 역사적인 공간이자,
왕의 서재 겸 사랑채 역할을
했던 장소입니다.

단청 없는 사대부 가옥 형식이지만,
섬세한 장식과 창호가 궁궐의
권위를 보여줍니다.
특히 누마루와 온돌방 사이의
만월문은 낙선재의
백미로 꼽힙니다.

낙선재 입구의 주렁 주렁
달린 주황색 감을
보고 외국인탄성
2024년 11월 03일
단청을 하지 않아 단아하고, 창호를 보면 다양한 모양을 사용하여 섬세하고 우아해요.
붐비지 않아 여유있게 관람할 수 있어요.
2024년 10월 27일
창덕궁의 낙선재(樂善齋)는 조선 24대 헌종이 후궁 경빈 김씨를 위해 지은 건물이다.
1847년에 건립되었으며, 본래 이름은 낙선당이었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단층 건물로 2012년 3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낙선재는 양반가 형식을 따랐으나 궁궐 침전 양식을 가미한 건물로,
누마루와 온돌방, 대청마루 등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양반가옥 형식을 따랐기에 단청을 칠하지 않았다.

낙선재는 석복헌, 수강재와 함께 하나의 영역을 이루고 있는데
이를 통칭하여 낙선재라 부르기도 한다.

낙선재는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현재는 국빈을 맞이하는 장소나 문화 행사 등이 열리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
2024년 09월 27일
창덕궁 인정전의 동남쪽, 창경궁과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한 건물로 여느 궁궐 내 침전 건물과 달리 단청을 하지 않고 사대부 가옥 형식으로 헌종 임금때 건립 되었다. 하지만 여러 자재들을 고도의 기술로 다듬어 섬세하고 아름답게 장식하고, 수준 높고 다양한 창호를 설치함으로써 궁궐의 권위와 위엄을 잘 보여 주는 건물이다.
낙선재 오른쪽으로는 헌종의 후궁인 경빈김씨의 처소로 건립된 석복헌과 수강재가 옆으로 길게 이어지며 행랑과 담으로 독립된 건물군을 형성하고 있어 이 일곽을 통틀어 낙선재 일원으로 부른다.

낙선재 일원은 국권을 빼앗긴 황실의 마지막 역사를 담고 있고, 조선 후기 장인들의 축적된 기량을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역사적·건축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2024년 08월 26일
소박하고 단아한 멋이 있는 전각. 창덕궁 낙선재. 너무나 멋진 곳
2024년 07월 24일
여유가 생겨 방문하게 된 창덕궁입니다🙂
운이 좋게 후원에 들어갈 수 있는 티켓도 구매하고
해설하는 시간에 맞춰 들어갔습니다!
잠깐 창덕궁 해설은 짧게 듣고 14시 후원에 다녀왔습니다!
30분간의 짧은 만남을 했던 해설사님 감사해요🫶
그리고 후원은 그동안 궁을 방문하면서 마주하지 못했던 장관이 펼쳐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꼭 방문해보고 싶어요!
후원관람을 마친 후 15시 30분 해설을 듣기 위해 기다리다 앞시간의 해설사님을 우연히 만나 창덕궁 관람 꿀팁을 들었습니다🙂 넘 감사해욤🫶
그리고 약 1시간 동안 관람을 하고 나왔는데 이번 해설사님은 듣던대로 너무 유머러스 하시고 즐거운 관람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당!!
궁은 가도가도 새로운 것 같아요! 자주 올 수 있을때 창덕궁 자주 방문하겠습니다
해설사님들 감사합니당👍
2024년 07월 06일
창덕궁 깊이보기 - 낙선재 프로그램을 예약 후 다녀왔습니다~

약 40분 프로그램을 15명이 예약 후 듣는 프로그램이지만
이 날 비가 와서 사람들이 많이 취소를 해서
예약한 5명과 현장에서 모인 사람들이 추가되어
여럿이서 즐겼습니다~

설명해주신 남자분께서 너무너무
전문가셔서 자세하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셨구요,
헌종의 이야기, 덕혜옹주, 고종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10시 반에 궐내각사, 2시 반에 낙선재를
'창덕궁 깊이보기'라는 프로그램으로
궁능유적본부 - 통합예약 에서
예약하고 싶은 날의 8일 전 0시부터 15명 한정으로 예약할 수 있으니 많이 예약 후 다녀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4년 07월 01일
매화가 피기 시작 할 무렵 예쁜 색으로 몽우리진 매화와 건물이 고풍스럽고 예쁘네요.
창덕궁 산책하기도 좋고 사람도 붐비지 않아서 좋았어요. 꽃이 활짝 피진 않았지만 그 나름대로의 분위기가 이뻤던~ 창경궁과 연결되어 있어 시간이 넉넉하다면 창경궁까지 같이 둘러보고 오면 참 좋을 듯 합니다.
2024년 06월 06일
해설사분의 해설과 함께 들으니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다른 건물들과는 다르게 소박하면서도 단아한 기풍이 느껴지는 낙선재의 모습이었습니다^^
2024년 04월 18일
매화가 피기 시작 할 무렵 예쁜 색으로 몽우리진 매화와 건물이 고풍스럽고 예쁘네요.
창덕궁 산책하기도 좋고 사람도 붐비지 않아서 좋았어요. 꽃이 활짝 피진 않았지만 그 나름대로의 분위기가 이뻤던~ 창경궁과 연결되어 있어 시간이 넉넉하다면 창경궁까지 같이 둘러보고 오면 참 좋을 듯 합니다.
2024년 03월 17일
천천히 걸어다니면서 공간이 주는 여유로움을 만끽하기에 참 좋은 곳!👍
2023년 11월 10일
창덕궁 낙선재에서만 느껴지는 온화함이 있어서, 좋아하는 곳이에요. 마룻바닥에 손을 살짝 올려보면, 까슬까슬한 결이 느껴지면서, 이곳에서 지낸다면 어떨까? 라는 상상을 해보게 돼요.
2023년 10월 31일
2023년 09월 29일
주변 맛집  
에프터워크33
0.31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10길
살롱순라
0.51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10길
오!바바
0.53km
서울시 종로구 서순라길
잘빠진메밀 익선
0.53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8길
온천집 익선
0.60km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11나길
청수당 베이커리
0.61km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11나길
감꽃당
0.61km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11다길
어니언 안국
0.61km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익선동 그집
0.62km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30길
만보성
0.63km
서울시 종로구 서순라길
주변 여행  
창경궁 명정전
0.11km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자생식물학습장
0.11km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창경궁 홍화문
0.11km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창경궁
0.11km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율곡로
0.20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창덕궁 인정문
0.21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창경궁대온실
0.26km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창덕궁과 후원
0.30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창덕궁 향나무
0.37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현대원서공원
0.43km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길
주변 숙박  
쿠즈모텔
0.40km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11가길
고궁호텔
0.43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비원스테이
0.43km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11가길
문게스트하우스
0.49km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32길
세화호스텔
0.51km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32가길
메이플레이스 호텔 서울 동대문
0.53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다자연한옥스테이
0.54k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10길
멀티스페이스 곳
0.56km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온유헌 바이 버틀러리
0.63km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유준당 바이 버틀러리
0.67km
서울시 종로구 계동4길
주변 레포츠  
서울 YMCA 사회체육부
1.14km
서울시 종로구 종로
서울청소년수련관
1.30km
서울시 중구 을지로11길
롤파크
1.36km
서울시 종로구 종로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1.41km
서울시 종로구 성균관로
남산국치길
1.67km
서울특별시 중구
호텔롯데 휘트니스클럽
1.80km
서울시 중구 을지로
롯데호텔 실내수영장
1.84km
서울시 중구 을지로
종로구시설관리공단 종로구민회관
1.93km
서울시 종로구 지봉로5길
명동사격장
1.95km
서울시 중구 명동8가길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1.95km
서울시 중구 을지로
주변 캠핑  
초안산캠핑장
8.71km
서울시 노원구 마들로5가길
북한산둘레캠핑장
9.35km
서울시 은평구 북한산로
우이동 가족캠핑장
9.80km
서울시 강북구 삼양로181길
노을캠핑장
10.19km
서울시 마포구 하늘공원로
북한산농바위캠핑장
10.58km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한강공원 난지캠핑장
10.70km
서울시 마포구 한강난지로
무수아취
11.42km
서울시 도봉구 도봉로169길
전원일기마을캠핑장
12.81km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은지가족야영장
13.36km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울YMCA다락원캠핑장
13.77km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주변 쇼핑  
떡카페 질시루
0.49km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고궁마실
0.58km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때때롯살롱
0.66km
서울시 종로구 수표로28길
경일문화가게
0.81km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4길
낙원 악기상가
0.82km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통인가게
0.87km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박영숙요
0.88km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이새
0.89km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인사동 고미술거리
0.91km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한국공예관
0.91km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