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무공과 작별인사를 나누다  
기본정보
이름이충무공과 작별인사를 나누다
인기점수1,120점
주소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총 거리40.4km
소요시간6시간
Overview
남해대교는 하동군 노량리와 남해군 노량리를 잇는 다리다. 노량은 임진왜란의 7년 전쟁을 끝내는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해전이 펼쳐졌던 전장의 바다이자 순국의 바다였다. 남해대교를 건너자마자 만나는 이순신 장군의 위패가 모셔진 충렬사와 장군의 길잃은 흉탄에 맞아 숨을 거둔 관음포 앞바다가 보이는 이충무공 유적 등이 남아 있고, 이순신 영상관에서는 당시 장엄했던 해전을 3D입체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1. 남해대교
제주도, 거제도, 진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네번째 큰섬. 창선· 삼천포대교 개통 이전까지 남해의 관문은 동양 최대의 현수교라 불렸던 남해대교이다. 남해대교는 길이 660m, 높이 52m의 아름다운 현수교로 1973년 개통된지 3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리로 일컬어지고 있다. 남해대교가 가로지른 노량해협의 거센 물살은 남해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산증인이요, 역사의 마당이었다.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이 시작된 곳으로, 또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무수한 유배객들이 자신의 적소로 건너오기 위해 나룻배를 탔던 한맺힌 곳이었다. 남해대교가 놓여지기 전, 남해사람들은 나룻배를 타거나 도선으로 노량의 물살을 가로질러 다녀야 했지만 30년 전부터는 승용차로 1~2분이면 물을 건넌다. 남해를 육지와 연결한 남해대교를 건너면 벚꽃터널이 반긴다. 봄이면 하늘이 보이지 않는 벚꽃의 터널이 장관이다.
ㆍ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2. 충렬사와 거북선
남해충렬사의 가장 큰 특징은 이순신장군이 3개월간 묻혔던 자리에 아직도 가묘가 남아있다는 점이다. 1598년11월19일 돌아가신 충무공의 유해는 충렬사 자리에 안치되어 있다가 1599년 2월 11일 전라땅 고금도를 거쳐 외가동네인 아산 현충사 자리에 운구되어 안장되었다. 충렬사의 역사는 장군이 돌아가신지 34년이 지난 1633년에 한칸의 초사를 건립하여 제사를 봉행하면서 시작된다.

* 거북선
남해대교를 건너 벚꽃터널을 지나 노량마을로 내려오면 충무공 이순신이 관음포에서 전사한 후 시신을 잠시 모셨던 충렬사와 바로 앞 바다에 떠 있는 실물 크기의 거북선이 있다. 충렬사 앞 노량바다에 떠 있는 거북선은 20여년 전에 이희승 등 학자들의 고증으로 본래 크기대로 복원된 것이다. 진해사관학교에 있던 것을 1999년 12월 남해로 옮겼다. 내부에는 천자, 지자, 현자총통 등 을 비롯한 각종 무기류와 당시의 모습을 재현한 모형들이 갖춰져 있어 역사 체험장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ㆍ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노량로183번길 27
3.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남해대교에서 섬의 한가운데를 향해 4km들어오면 사적 제232호 관음포 이충무공전몰유허가 자리잡고 있다. 일명 '이락사'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노량해전을 승리로 이끌고 전사한 이순신장군의 유해가 맨처음 육지에 오른곳이다. 이락사 앞 뜰에는 충무공 순국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유언비가 역사를 증명하듯 하늘을 향해 힘차게 솟아있다. 충무공이 순국한지 234년이 지난 1832년, 이순신의 8대손인 통제사 이항권(李恒權)이 충무공의 진충보국(盡忠報國)의 뜻을 기리는 유허비(높이 187cm, 폭 75.5cm, 두께 22cm)를 세웠다. 1973년 6월 사적 제232호로 지정되어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라고 부르게 되었다
ㆍ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남해대로 3829
4. 점심식사(부산횟집)
노량리에 위치한 횟집으로서 이 일대에서 매운탕이 제일 맛있는 집이라고 업주의 자랑이 대단하다. 넓은 좌석을 갖추고 있어 단체 손님을 받기에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으며 회의 질과 맛 또한 부족함이 없는 업소이다. 남해군에서 맛있고 싱싱한 회를 맛보길 원하는 사람은 한 번 들려볼만 하다. 회 한접시 먹고 근처의 충렬사와 이충무공 전몰유허를 둘러 본다면 괜찮은 답사여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남해의 관문인 남해대교가 정면으로 바라보이고 앞 바다의 푸른 물결 위 거북선은 과거 역사의 현장이며, 더불어 충렬사와 함께 역사공부의 장이 될 것이다. 충렬사는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순국하고 아산으로 운구전에 3개월간 이곳에 안치 되었던 곳이다. 또한 봄이면 벚꽃이 만발하여 벚꽃 축제로도 유명한 곳이다.
5. 화방사
여초 김응현 선생의 일필휘지가 오직 한마음, 일심으로 정진하라는 일주문을 가로지르고 있는 망운산 화방사는 채진루의 이름이 그렇듯이 삶의 진실을 캐는 이들의 땅이다. 1981년 화재로 소실된 이충무공 목판 묘비가 복원되어 있는 화방사는 충무공 이순신과 함께 임진왜란때 순국한 장병들의 영혼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던 호국사찰이다. 법전 사물이 모두 갖추어져 있는 화방사 주변에는 천연기념물인 산닥나무 자생지가 있어 교육의 장이 된다.
ㆍ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화방사길 128-6
주변 맛집  
냇가집잔치국수
0.76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곰바우횟집
4.07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큰바다횟집
4.49km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부산활어회센타
5.55km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남해밥상
9.28km
경상남도 남해군 서부로
남해정식당
9.29km
경상남도 남해군 화전로122번가길
서울해물찜
9.65km
경상남도 남해군 동부대로
남해시장회센터
10.21km
경상남도 남해군 화전로
남해군수협회센타
10.74km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남해그집
11.28km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대로
주변 여행  
남해 양모리학교
1.72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 문항어촌체험마을
1.80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상상양떼목장 편백숲
2.45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대국산성
3.16km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한려해상국립공원
3.58km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왕지벚꽃길
3.77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 척화비
3.90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충렬사와 거북선
3.95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대교유람선
4.17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대교
4.27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주변 숙박  
투게독펜션
3.79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비치텔
3.97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별주부관광팬션
8.60km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바다정원펜션
8.65km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웨이포인트 풀빌라
14.26km
경상남도 남해군 남서대로
주변 레포츠  
코리아 짚와이어
6.78km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블랙이글패러글라이딩
7.75km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삼천포 마리나 레저클럽
12.28km
경상남도 사천시 해안관광로
황금빛노을바다낚시터
12.65km
경상남도 사천시 대방동
말발굽길
12.89km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남해스포츠파크
14.86km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장포리 바다낚시
16.54km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다랭이지겟길
18.47km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화전별곡길
19.00km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미조면
배안타는 볼락 밤낚시 체험
19.68km
경상남도 남해군 동부대로960번길
주변 캠핑  
명도그오토캠핑장
4.34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더왕글램핑장
4.50km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J글램핑
7.27km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불멸의 글램핑
7.46km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비토국민여가캠핑장
7.73km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가반나야영장
7.74km
경상남도 남해군 서부로
비토애 럭셔리글램핑 시즌2
7.80km
경상남도 사천시 토끼로
럭셔리 토리글램핑
7.86km
경상남도 사천시 토끼로
비토애
8.12km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신우리조트모던글램핑
8.18km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주변 쇼핑  
남해장
9.48km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남해전통시장
9.58km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남해 특산물지족판매장
13.12km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초록스토어
13.30km
경상남도 남해군 동부대로1876번길
삼천포수협회센터
14.03km
경상남도 사천시 유람선길
삼천포전통수산시장
14.24km
경상남도 사천시 어시장길
삼천포용궁수산시장
14.39km
경상남도 사천시 어시장길
삼천포 중앙시장
14.85km
경상남도 사천시 중앙시장2길
루디아공예원
15.61km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5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