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이름 | 고려와 조선의 역사 현장을 가다 |
인기점수 | 6,908점 |
인기순위 |
전남 추천코스 순위 15위
|
주소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만금길 112-41 |
총 거리 | 32.7km |
소요시간 | 6.5시간 |
Overview
진도와 해남을 잇는 진도대교 아래는 울돌목이라 불리는 물살이 센 곳으로 임진왜란 당시 명량해전이 펼쳐졌던 역사적인 현장이다. 녹진전망대에 올라 명량을 내려다보고, 벽파진에 올라 이충무공 전첩비도 둘러보는 역사테마코스다. 또한 고려시대 삼별초의 근거지로 용장성도 함께 둘러보면 좋다.
|
1. 녹진전망대
망금산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대교와 주변 경관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로 등산 장비 없이 간편복으로 올라갈 수 있는 전망대이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주변경관은 경탄을 자아내고 있다.
ㆍ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만금길 112-41
|
|
2.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벽파진은 바로 그 명량대첩을 거두기 직전 16일 동안 이순신이 머물면서 나라의 미래와 백성의 안위를 고민하고 전열을 가다듬고 작전을 숙고했던 역사의 현장이다. 비석의 높이는 11m이며 커다란 돌거북 등 위에 얹혀 있으면서 명량해협을 굽어보고 있다.
ㆍ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벽파길 90
|
|
3. 진도 용장성
고려 원종 때에 몽고 항쟁 중에 왕실이 몽고에 굴복하자 삼별초는 끝까지 저항했다. 배중손 장군은 몽고군에게 쫓기어 강화도에서 진도로 옮겨와 새 나라를 세웠다. 그는 한동안 본토 일부와 제주도까지 세력권에 넣는 등의 위세를 떨쳤으나 결국 여몽연합군에게 토벌되고 말았다. 그 때 삼별초가 항쟁의 터전으로 삼았던 것이 용장산성과 남도석성이다.
ㆍ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산성길 92
|
|
4. 점심식사(사랑방, 제진관)
[사랑방]
전남 진도 서천의 청룡에서 갓 잡아온 신선하고 통통한 간재미와 바지락을 회를 쳐 향긋한 미나리와 버무린 간재미무침과 바지락무침이 바로 이집의 주메뉴. 단백질, 비타민, 미넬랄 등의 영양도 풍부해 몸에 좋다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술안주로 이만한 것이 없을 듯싶다.
[제진관]
진도청정해역에서 잡힌 간재미만 직접 선택 엄선하여 요리하는 주인아주머니의 독특한 손맛에 의해 감칠맛 나고 새콤 매콤한 맛이 가히 일품이다.
ㆍ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쌍정2길 22
|
|
5. 쌍계사
전남 구례읍에서 21km 지점, 경남 하동군 화개면 화개리에서 운수리까지의 6km 구간에는 벚꽃나무가 줄지어 서 있고 바로 이곳 지리산 남쪽기슭에 신라 성덕왕 21년(722년)에 의상대사의 제자 삼법스님이 창건한 쌍계사가 있다. 처음 이름은 옥천사였으나 그 후 문성왕 2년(840년)에 진감선사가 대찰로 중창시킨 후 887년 정강왕이 선사의 도풍을 앙모하여 '쌍계사'로 개칭하였다.
ㆍ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
|
6. 진도 운림산방
진도읍에서 바로 남쪽으로 내려오다 보면 첨찰산 서쪽, 쌍계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며, "ㄷ"자 기와집인 운림산방과 그 뒤편의 초가로 된 살림채, 새로 지어진 기념관들로 이루어져 있다. 운림산 방 앞 오각으로 만들어진 연못에는 흰 수련이 피고 연못 가운데 직경 6m 크기의 원형으로 된 섬에는 배롱나무가 있다.
ㆍ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3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