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지장사  
기본정보
이름호국지장사
인기점수41점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 현충원 내
문의 및 안내02-814-5257
쉬는날 연중무휴
주차시설 주차 가능
유모차 대여 없음
애완동물 동반 불가
기타정보
화장실있음
Overview
국립현충원을 들어서 걷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묘비 앞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는 장면이 눈에 들어와 절로 마음이 숙연해진다. 그런가하면 운동복 차림으로 순환로를 따라 걷는 사람, 약수를 받아가려는 사람들의 즐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을 가슴에 안고 인공적으로 가꾸어진 묘비의 숲과 자연이 이루어 놓은 숲속을 번갈아 가며 지나면 호국지장사에 닿는다. 지장사가 자리한 곳은 일찍이 이승만 대통령이 들렀다가 ‘만일 이곳에 절이 없었다면 내가 묻히고 싶은 땅’이라고 했다는 일화가 전할만큼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호국지장사는 원래 통일 신라말 도선국사가 창건한 갈궁사(葛弓寺)가 시초이다. 이후 창빈 안씨(昌嬪 安氏)의 원찰로 지정되어 화장사(華藏寺)로 이름을 고쳤고, 다시 1983년에는 국립묘지에 안치된 호국영령들이 지장보살의 원력으로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호국지장사(護國地藏寺)로 바꾸게 된 것이다. 호국지장사라는 절 이름에 어울리게 현재 절에는 지장보살입상을 중심으로 2500여 좌(座)의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조선 후기의 재상으로 이름 높았던 오성 이항복(李恒福)과 한음 이덕형(李德馨)이 소년시절 머물면서 공부한 곳이기도 하다. 이 시절의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이야기책의 한 꼭지가 되기도 했다.

* 역사

지장사는 신라 말 풍수지리설에 뛰어났던 도선(道詵) 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즉 도선스님이 북쪽으로 만행을 하다가 한강 언덕에 이르러 둘러보니 서기가 퍼져 나오는 곳이 있었다. 그래서 그곳에 가보니 칡덩굴이 엉켜지고 약물이 샘솟는 명당이므로 토굴을 짓고 갈궁사(葛弓寺)라 했다는 것이다. 그 후에는 폐허가 되다시피 한 갈궁사를 고려 공민왕 때 보인(寶印) 스님이 중창하고 절 이름을 고쳐 화장암(華藏庵)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안진호(安震湖) 스님이 편찬한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는 사기(寺記)를 인용하여 “1577년(선조 10) 왕이 창빈묘(昌嬪墓) 부근 산기슭에 절을 창건하고 창빈의 원찰을 삼으니 갈궁사가 바로 이것이다(朝鮮宣祖十年 ?寺於昌嬪墓附近山麓 爲昌嬪願刹 是葛弓寺)”라고 적고 있다. 그러나 창빈의 묘는 1578년 즉 선조 즉위 11년에야 양주(楊州) 장흥리(長興里)에서 이곳 동작리로 옮겨졌다. 그래서인지 안진호 스님은 창건에 대한 여러 설을 언급하며 이 시기에 지장사가 창건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현재로서는 화장사가 언제 처음 창건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일반적으로 전해지는 내용은 보인(寶印) 스님의 중창이후 1577년(선조 10)에 선조의 생조모인 창빈 안씨(昌嬪 安氏)의 묘를 절 부근에 모시게 되자 그 원찰로 삼고 화장사(華藏寺)로 고쳐 불렀으며, 창빈묘의 조포사찰(造泡寺刹)로 지정하였다는 것이다. 이후의 연혁은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 자세히 전한다. 화장사는 1663년(현종 4)에 중수를 하는 등 꾸준히 사세를 유지해왔는데, 영조 때 신경준이 지은 『가람고(伽藍攷)』에도 “동작리에 화장암이 있다(在銅雀里縣北十五里)”고 기록하고 있다.

그 뒤 1862년(철종 13)에는 운담(雲潭)과 경해(鏡海) 두 스님이 중건하였다. 1870년(고종 7)에는 운담(雲潭)과 경해(鏡海) 두 스님이 경파루(鏡波樓)를 새로 지었으며, 1878년(고종 15)에는 주지 서월(瑞月) 스님과 경해 스님이 큰방 등을 수리하였다. 1893년(고종 30)에는 화주 경운(慶雲)·계향(戒香) 스님이 불상을 개금·개분하고 구품탱·지장탱·현왕탱·독성탱·산신탱을 봉안하였고, 1896년에는 칠성각을 새로 지었다. 그리고 1906년에는 화주 풍곡(豊谷) 스님이 약사전의 불상을 개금·단청하고 후불탱·신중탱·감로탱·신중탱·칠성탱 등을 봉안하였다. 1911년에는 일제의 사찰령에 따라 봉은사의 말사로 편입이 되었다. 1920년에는 주지 원옹(圓翁)스님과 명진(明眞)스님이 큰방을 수리하였고, 1936년에는 주지 유영송(劉永松) 스님이 능인전(能仁殿)을 중수하였다.

한국전쟁 이후에는 국립묘지가 들어서자 수많은 유가족들이 호국영령을 위해 기도하는 사찰이 되었다. 그 뒤 1983년에는 혜성(慧惺)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국립묘지에 안치된 호국영령들이 지장보살의 원력으로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절 이름을 호국지장사(護國地藏寺)로 다시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변 맛집  
우뇽뚝배기스파게티
0.89km
서울시 동작구 서달로10길
터방내
1.10km
서울시 동작구 흑석로
왕곱창막창집
1.12km
서울시 동작구 서달로15길
뚜스뚜스 흑석역점
1.24km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동작노을카페
1.59km
서울시 동작구 동작대로
더 리버 마리나
1.66km
서울시 서초구 동작대로
더한강
1.66km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로32길
명품송이족발
1.86km
서울시 동작구 사당로17길
장수원
2.03km
서울시 서초구 방배중앙로
완산정
2.12km
서울시 관악구 봉천로
주변 여행  
달마사
0.17km
서울시 동작구 서달로
국립서울현충원
0.82km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조선일보 뉴지엄
0.86km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효사정
1.34km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용양봉저정 공원
1.65km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사육신공원
2.13km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로
이원등 상사상
2.18km
서울시 용산구 양녕로
노들섬
2.19km
서울시 용산구 양녕로
거북선나루터
2.19km
서울 용산구 이촌동
이촌한강공원
2.19km
서울시 용산구 이촌로72길
주변 숙박  
오케이 게스트하우스
3.54km
서울시 동작구 알마타길
로얄 홈스테이
3.55km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정스패밀리
4.08km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8길
베니키아 프리미어 여의도 호텔
4.15km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신림빌
4.20km
서울시 관악구 조원로31길
서울 크라운 관광호텔
4.33km
서울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4.41km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라바호텔
4.53km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53길
호텔소설
4.55km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14길
엘르인호텔
4.68km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71길
주변 레포츠  
고구동산길
0.98km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53길
현대요트 서울지점
1.66km
서울시 서초구 동작대로
사당청소년문화의집
1.77km
서울시 동작구 사당로23길
더클라임 클라이밍 짐앤샵 서울대점
2.25km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서초YMCA 수영장
2.29km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반포종합운동장
2.63km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16길
관악구민운동장
2.69km
서울시 관악구 낙성대로
관악산코스
3.05km
서울시 관악구 과천대로
골든블루마리나
3.17km
서울시 서초구 올림픽대로
서울여성플라자
3.60km
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54길
주변 캠핑  
서울대공원자연캠프장
9.40km
경기도 과천시 대공원광장로
도덕산캠핑장
10.15km
경기도 광명시 밤일안로42번길
노을캠핑장
10.92km
서울시 마포구 하늘공원로
한강공원 난지캠핑장
11.36km
서울시 마포구 한강난지로
천왕산 가족캠핑장
11.95km
서울시 구로구 연동로12길
청계산골든밸리캠핑장
13.60km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병목안캠핑장
13.76km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바라산자연휴양림
14.77km
경기도 의왕시 바라산로
북한산둘레캠핑장
17.01km
서울시 은평구 북한산로
강동그린웨이 가족캠핑장
17.22km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206길
주변 쇼핑  
인헌시장
2.64km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246나길
노량진 수산물 도매시장
3.04km
서울시 동작구 노들로
GS25 뉴한강세빛섬점
3.20km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고투몰
3.29km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신라아이파크면세점
3.46km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이바돔
3.46km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아이파크몰 용산점
3.46km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센트럴시티
3.54km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용산전자랜드
3.81km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고속터미널 의류도매상가
3.86km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